龍飛御天歌

2017-09-15 12:15:18 -0400

용비어천가

저자: 정인지, 안지, 권제
Info non-talk.svg 이 문서의 서지 정보 1445년(세종 27년)에 창작되어 1447년(세종 29년)에 간행된 악장이자 서사시. 한글로 간행된 최초의 문헌이다. 모두 125장으로 이뤄져 있다. 조선의 6대 왕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태조, 태종의 사적을 노래한 것이며, 조선 건국의 위대함과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목조, 익조, 도조, 환조는 태조 이성계의 직계 선조로 추존 왕이다. 제1장과, 제125장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장들은 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장에는 중국의 역사를 적고, 뒷장에는 앞장과 비슷한 조선의 역사를 적었다.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의 〈훈민정음의 창제〉에서 인용. 나랏말싸미.png 이 문서는 옛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옛한글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면 위키문헌:옛한글을 참고하십시오.   

《용비어천가》 제1장

海東 六龍이〮 ᄂᆞᄅᆞ샤〯 일〯마〯다 天福이〮시니〮 古聖이〮 同符ᄒᆞ〮시니〮 제2장

불휘〮 기픈〮 남ᄀᆞᆫ〮 ᄇᆞᄅᆞ매〮 아니〮 뮐〯ᄊᆡ〯 곶 됴〯코〮 여름〮 하〮ᄂᆞ니〮 ᄉᆡ〯미〮 기픈〮 므〮른〮 ᄀᆞ〮ᄆᆞ래〮 아니〮 그츨〮ᄊᆡ〮 내히 이러〮 바ᄅᆞ〮래〮 가〮ᄂᆞ니〮 제3장

周國 大王이〮 豳谷애〮 사〯ᄅᆞ샤〯 帝業을〯 여르〮시니〮 우리 始祖ㅣ 慶興에〮 사〯ᄅᆞ샤〯 王業을〮 여〯르〮시니〮 제4장

狄人ㅅ 서리가샤 狄人이 ᄀᆞᆯ외어늘 岐山 올ᄆᆞ샴도 하ᄂᆞᇙ ᄠᅳ디시니 野人ㅅ 서리예 가샤 野人이 ᄀᆞᆯ외어늘 德源 올ᄆᆞ샴도 하ᄂᆞᇙ ᄠᅳ디시니 제5장

漆沮 ᄀᆞᅀᅢᆺ 움흘 後聖이 니ᄅᆞ시니 帝業 憂勤이 뎌러ᄒᆞ시니 赤島 안해ᇫ 움흘 至今에 보ᅀᆞᆸᄂᆞ니 王業 艱難이 이러ᄒᆞ시니 제6장

商德이 衰ᄒᆞ거든 天下ᄅᆞᆯ 맛ᄃᆞ시릴ᄊᆡ 西水ㅅ ᄀᆞᅀᅵ 져재 ᄀᆞᆮᄒᆞ니 麗運이 衰ᄒᆞ거든 나라ᄒᆞᆯ 맛ᄃᆞ시릴ᄊᆡ 東海ㅅ ᄀᆞᅀᅵ 져재 ᄀᆞᆮᄒᆞ니 제7장

블근〮 새〯 그〮를〮 므러〮 寢室 이페〮 안ᄌᆞ니〮 聖子革命에〮 帝祐ᄅᆞᆯ〮 뵈〯ᅀᆞᄫᆞ〮니〮 ᄇᆞ〮야미〮 가〯칠〮 므러〮 즘겟〮 가〮재〮 연ᄌᆞ니〮 聖孫將興에〮 嘉祥이〮 몬졔〮시니〮 제8장

太子ᄅᆞᆯ〮 하ᄂᆞᆯ〮히〮 ᄀᆞᆯᄒᆡ〮샤〮 兄ㄱ ᄠᅳ〮디〮 일〯어〮시ᄂᆞᆯ〮 聖孫ᄋᆞᆯ 내〯시니〮ᅌᅵ다〮 世子ᄅᆞᆯ〮 하ᄂᆞᆯ〮히〮 ᄀᆞᆯᄒᆡ〮샤〮 帝命이〮 ᄂᆞ리〮어〮시ᄂᆞᆯ〮 聖子ᄅᆞᆯ〮 내〯시〮니ᅌᅵ다〮 제9장

奉天討罪실ᄊᆡ 四方諸侯ㅣ 몯더〮니〮 聖化ㅣ 오라〮샤〮 西夷 ᄯᅩ〮 모ᄃᆞ〮니〮 唱義班師ㅣ실ᄊᆡ〮 千里人民이 몯더〮니〮 聖化ㅣ 기프샤〮 北狄이〮 ᄯᅩ〮 모ᄃᆞ〮니〮 제10장

一夫ㅣ 流毒ᄒᆞᆯᄊᆡ〮 我后를〮 기드〮리〮ᅀᆞᄫᅡ〮 玄黃筐篚로〮 길헤〮 ᄇᆞ〮라〮ᅀᆞᄫᆞ〮니〮 狂夫ㅣ 사虐ᄒᆞᆯᄊᆡ〮 義旗를〮 기드〮리〮ᅀᆞᄫᅡ〮 簞食壺漿ᄋᆞ〮로〮 길헤〮 ᄇᆞ〮라〮ᅀᆞᄫᆞ〮니〮 제11장

虞芮 質成ᄒᆞᄂᆞ〮로〮 方國이〮 해〯 모ᄃᆞ〮나〮 至德이〮실ᄊᆡ〮 獨夫受ㄹ 셤기〮시니〮 威化 振旅ᄒᆞ〮시〮ᄂᆞ로〮 輿望이〮 다〯 몯ᄌᆞᄫᆞ〮나〮 至忠이실〮ᄊᆡ 中興主를〮 셰〯시니〮 제12장

五年을 改過 몯ᄒᆞ야 虐政이 날로 더을ᄊᆡ 倒戈之日에 先考ㆆ ᄠᅳᆮ 몯 일우시니 처ᇫ나래 讒訴ᄅᆞᆯ 드러 兇謀ㅣ 날로 더을ᄊᆡ 勸進之日에 平生ㄱ ᄠᅳᆮ 몯 일우시니 제13장

말ᄊᆞᄆᆞᆯ ᄉᆞᆯᄫᆞ리 하ᄃᆡ 天命을 疑心ᄒᆞ실ᄊᆡ ᄭᅮ므로 뵈아시니 놀애ᄅᆞᆯ 브르리 하ᄃᆡ 天命을 모ᄅᆞ실ᄊᆡ ᄭᅮ므로 알외시니 제14장

聖孫이 一怒ᄒᆞ시니 六百年 天下ㅣ 洛陽애 올ᄆᆞ니ᅌᅵ다 聖子ㅣ 三讓이시나 五百年 나라히 漢陽애 올ᄆᆞ니ᅌᅵ다 제15장

揚子江南ᄋᆞᆯ ᄭᅥ리샤 使者ᄅᆞᆯ 보내신ᄃᆞᆯ 七代之王ᄋᆞᆯ 뉘 마ᄀᆞ리ᅌᅵᆺ가 公州ㅣ 江南ᄋᆞᆯ 저ᄒᆞ샤 子孫ᄋᆞᆯ ᄀᆞᄅᆞ치신ᄃᆞᆯ 九變之局이 사ᄅᆞᇜ ᄠᅳ디리ᅌᅵᆺ가 제16장

逃亡애 命을 미드며 놀애예 일훔 미드니 英主ㅿ 알ᄑᆡ 내내 붓그리리 올모려 님금 오시며 姓 ᄀᆞᆯᄒᆡ야 員이 오니 오ᄂᆞᇗ 나래 내내 우ᇫᄫᅳ리 제17장

宮女로〮 놀〯라〮샤미〮 宮監ᄋᆡ〮 다시〮언마ᄅᆞᆫ〮 問罪江都ᄅᆞᆯ〮 느치〮리〮ᅌᅵᆺ가〮 官妓로〮 怒ᄒᆞ〮샤미〮 官吏의〮 다시언마ᄅᆞᆫ〮 肇基朔方ᄋᆞᆯ〮 뵈아〮시니〮ᅌᅵ다〮 제18장

驪山 役徒ᄅᆞᆯ〮 일ᄒᆞ샤〮 지ᄇᆞ〮로〮 도라〮 오〮시ᇙ 제〮 열〮희〮 ᄆᆞᅀᆞᄆᆞᆯ〮 하ᄂᆞᆯ히〮 달애〮시니〮 셔〮ᄫᅳᆳ 使者ᄅᆞᆯ〮 ᄭᅥ〯리샤〮 바ᄅᆞ〮ᄅᆞᆯ〮 건〯너〮시ᇙ 제〮 二百戶ᄅᆞᆯ〮 어느〮 뉘〮 請ᄒᆞ니〮 제19장

구든〮 城을〮 모ᄅᆞ〮샤〮 가ᇙ〮 길〮히〮 입〮더〮시니〮 셴〯 하〮나비〮ᄅᆞᆯ〮 하ᄂᆞᆯ〮히〮 브〮리〮시니〮 ᄭᅬ 한 도ᄌᆞᄀᆞᆯ〮 모ᄅᆞ〮샤〮 보〮리라〮 기드〮리〮시〮니〮 셴〯 할〮미ᄅᆞᆯ〮 하ᄂᆞᆯ〮히〮 보내〮시니〮 제20장

四海ᄅᆞᆯ 년글 주리여 ᄀᆞᄅᆞ매 ᄇᆡ 업거늘 얼우시고 ᄯᅩ 노기시니 三韓ᄋᆞᆯ ᄂᆞᄆᆞᆯ 주리여 바ᄅᆞ래 ᄇᆡ 업거늘 녀토시고 ᄯᅩ 기피시니 제21장

하ᄂᆞᆯ〮히〮 일워〮시니〮 赤脚仙人 아닌〮ᄃᆞᆯ〮 天下蒼生ᄋᆞᆯ〮 니ᄌᆞ시〮리〮ᅌᅵᆺ가〮 하ᄂᆞᆯ〮히〮 ᄀᆞᆯᄒᆡ〮이〮시니〮 누비〮즁〮 아닌〮ᄃᆞᆯ〮 海東黎民을〮 니ᄌᆞ시〮리〮ᅌᅵᆺ가〮 제22장

赤帝 니러나시릴ᄊᆡ 白帝 ᄒᆞᆫ 갈해 주그니 火德之王ᄋᆞᆯ 神婆ㅣ 알외ᅀᆞᄫᆞ니 黑龍이 ᄒᆞᆫ 사래 주거 白龍ᄋᆞᆯ 살아내시니 子孫之慶ᄋᆞᆯ 神物이 ᄉᆞᆯᄫᆞ니 제23장

雙鵰ㅣ ᄒᆞᆫ 사래 ᄢᅦ니 絶世英才ᄅᆞᆯ 邊人이 拜伏ᄒᆞᅀᆞᄫᆞ니 雙鵲이 ᄒᆞᆫ 사래 디니 曠世奇事ᄅᆞᆯ 北人이 稱頌ᄒᆞᅀᆞᄫᆞ니 제24장

ᄂᆞᄆᆞᆫ ᄠᅳᆮ 다ᄅᆞ거늘 님그믈 救ᄒᆞ시고 六合애도 精卒ᄋᆞᆯ 자ᄇᆞ시니 아ᇫᄋᆞᆫ ᄠᅳᆮ 다ᄅᆞ거늘 나라해 도라오시고 雙城에도 逆徒ᄅᆞᆯ 平ᄒᆞ시니 제25장

德望이 뎌러ᄒᆞ실ᄊᆡ 가다가 도라오ᇙ 軍士ㅣ ᄌᆞ걋긔 黃袍 니피ᅀᆞᄫᆞ니 忠誠이 이러ᄒᆞ실ᄊᆡ 죽다가 살언 百姓이 아ᄃᆞ니ᇝ긔 袞服 니피ᅀᆞᄫᆞ니 제26장

東都애 보내어시ᄂᆞᆯ 하리로 말이ᅀᆞᄫᆞᆫᄃᆞᆯ 이 곧 뎌 고대 後ㅿ 날 다ᄅᆞ리ᅌᅵᆺ가 北道애 보내어시ᄂᆞᆯ 글ᄫᅡᆯ로 말이ᅀᆞᄫᆞᆫᄃᆞᆯ 가샴 겨샤매 오ᄂᆞᆯ 다ᄅᆞ리ᅌᅵᆺ가 제27장

큰 화리 常例 아니샤 얻ᄌᆞᄫᅡ ᄀᆞ초ᅀᆞᄫᅡ 濟世才ᄅᆞᆯ 後人이 보ᅀᆞᄫᆞ니 큰 사리 常例 아니샤 보시고 더디시나 命世才ᄅᆞᆯ 卽日에 깃그시니 제28장

員의 지븨 가샤 避仇ᄒᆞᇙ 소ᄂᆡ 마리 兩漢 故事애 엇더ᄒᆞ니ᅌᅵᆺ고 아바니ᇝ 뒤헤 셔샤 赴京ᄒᆞᇙ 소ᄂᆡ 마리 三韓 今日에 엇더ᄒᆞ니ᅌᅵᆺ고 제29장

漢德이 비록 衰ᄒᆞ나 帝冑ㅣ 中興ᄒᆞ시릴ᄊᆡ 大耳兒ᄅᆞᆯ 臥龍이 돕ᄉᆞᄫᆞ니 世亂ᄋᆞᆯ 救호려 나샤 天姿ㅣ 奇偉ᄒᆞ실ᄊᆡ 大耳相ᄋᆞᆯ 詔使ㅣ 일ᄏᆞᆮᄌᆞᄫᆞ니 제30장

뒤헤는 모딘 도ᄌᆞᆨ 알ᄑᆡᄂᆞᆫ 어드ᄫᅳᆫ 길헤 업던 번게를 하ᄂᆞᆯ히 ᄇᆞᆯ기시니 뒤헤는 모딘 즁ᄉᆡᆼ 알ᄑᆡᄂᆞᆫ 기픈 모새 열ᄫᅳᆫ 어르믈 하ᄂᆞᆯ히 구티시니 제31장

전 ᄆᆞ리 현 버늘 딘ᄃᆞᆯ 三十年 天子ㅣ어시니 모딘 ᄭᅬᄅᆞᆯ 일우리ᅌᅵᆺ가 石壁이 ᄒᆞᆫ 잣 ᄉᆞᅀᅵᆫᄃᆞᆯ 數萬里ㅿ 니미어시니 百仞虛空애 ᄂᆞ리시리ᅌᅵᆺ가 제32장

天爲建國ᄒᆞ샤 天命을 ᄂᆞ리오시니 亭上牌額ᄋᆞᆯ 세 사ᄅᆞᆯ 마치시니 天爲拯民ᄒᆞ샤 天才ᄅᆞᆯ ᄂᆞ리오시니 藪中 담뵈ᄅᆞᆯ 스믈 살 마치시니 제33장

行宮에 도ᄌᆞ기 둘어 님그미 울어시ᄂᆞᆯ 赴援說疑ᄒᆞ샤 도ᄌᆞ기 도라가니 京都애 도ᄌᆞ기 드러 님그미 避커시ᄂᆞᆯ 先登獻捷ᄒᆞ샤 님금 도라오시니 제34장

믈 깊고 ᄇᆡ 업건마ᄅᆞᆫ 하ᄂᆞᆯ히 命ᄒᆞ실ᄊᆡ ᄆᆞᆯ 톤자히 건너시니ᅌᅵ다 城 높고 ᄃᆞ리 업건마ᄅᆞᆫ 하ᄂᆞᆯ히 도ᄫᆞ실ᄊᆡ ᄆᆞᆯ 톤자히 ᄂᆞ리시니ᅌᅵ다 제35장

셔ᄫᅳᆳ 긔벼를 알ᄊᆡ ᄒᆞᄫᆞᅀᅡ 나ᅀᅡ가샤 모딘 도ᄌᆞᄀᆞᆯ 믈리시니ᅌᅵ다 스ᄀᆞᄫᆞᆳ 軍馬ᄅᆞᆯ 이길ᄊᆡ ᄒᆞᄫᆞᅀᅡ 믈리조치샤 모딘 도ᄌᆞᄀᆞᆯ 자ᄇᆞ시니ᅌᅵ다 제36장

兄이 디여 뵈니 衆賊이 좇거늘 재 ᄂᆞ려 티샤 두 갈히 것그니 ᄆᆞᄅᆞᆯ 채 텨 뵈시니 三賊이 좇ᄌᆞᆸ거늘 길 버서 쏘샤 세 사래 다 디니 제37장

셔ᄫᅳᆯ 賊臣이 잇고 ᄒᆞᆫ 부니 天命이실ᄊᆡ ᄭᅥ딘 ᄆᆞᄅᆞᆯ 하ᄂᆞᆯ히 내시니 나라해 忠臣이 업고 ᄒᆞᄫᆞᅀᅡ 至誠이실ᄊᆡ 여린 ᄒᆞᆯᄀᆞᆯ 하ᄂᆞᆯ히 구티시니 제38장

四征無敵ᄒᆞ샤 오샤ᅀᅡ 사ᄅᆞ시릴ᄊᆡ 東ᄋᆡ 니거시든 西夷 ᄇᆞ라ᅀᆞᄫᆞ니 用兵如神ᄒᆞ샤 가샤ᅀᅡ 이기시릴ᄊᆡ 西예 오나시든 東鄙 ᄇᆞ라ᅀᆞᄫᆞ니 제39장

楚國엣 天子氣를 行幸ᄋᆞ로 마ᄀᆞ시니 님그ᇟ ᄆᆞᅀᆞ미 긔 아니 어리시니 鴨江앳 將軍氣를 아모 爲ᄒᆞ다 ᄒᆞ시니 님그ᇟ 말ᄊᆞ미 긔 아니 올ᄒᆞ시니 제40장

城 아래 닐흔 살 쏘샤 닐흐늬 모미 맛거늘 京觀ᄋᆞᆯ ᄆᆡᆼᄀᆞᄅᆞ시니 城 우희 닐흔 살 쏘샤 닐흐늬 ᄂᆞ치 맛거늘 凱歌로 도라오시니 제41장

東征에 功이 몯 이나 所掠ᄋᆞᆯ 다 노ᄒᆞ샤 歡呼之聲이 道上애 ᄀᆞᄃᆞᆨᄒᆞ니 西征에 功이 일어늘 所獲ᄋᆞᆯ 다 도로 주샤 仁義之兵을 遼左ㅣ 깃ᄉᆞᄫᆞ니 제42장

西幸이 ᄒᆞ마 오라샤 角端이 말ᄒᆞ야ᄂᆞᆯ 術士ᄅᆞᆯ 從ᄒᆞ시니 東寧을 ᄒᆞ마 아ᅀᆞ샤 구루미 비취여늘 日官ᄋᆞᆯ 從ᄒᆞ시니 제43장

玄武門 두 도티 ᄒᆞᆫ 사래 마ᄌᆞ니 希世之事ᄅᆞᆯ 그려 뵈시니ᅌᅵ다 죨애山 두 놀이 ᄒᆞᆫ 사래 ᄢᅦ니 天縱之才ᄅᆞᆯ 그려ᅀᅡ 아ᅀᆞᄫᆞᆯ까 제44장

노ᄅᆞ샛 바ᅌᅩ리실ᄊᆡ ᄆᆞᆯ 우희 니ᅀᅥ 티시나 二軍 鞠手ᄲᅮᆫ 깃그니ᅌᅵ다 君命엣 바ᅌᅩ리어늘 ᄆᆞᆯ 겨틔 엇마ᄀᆞ시니 九逵 都人이 다 놀라ᅀᆞᄫᆞ니 제45장

가리라 ᄒᆞ리 이시나 長者ᄅᆞᆯ 브리시니 長者ㅣ실ᄊᆡ 秦民ᄋᆞᆯ 깃기시니 활 쏘리 하건마ᄅᆞᆫ 武德을 아ᄅᆞ시니 武德으로 百姓을 救ᄒᆞ시니 제46장

賢君을 내요리라 하ᄂᆞᆯ히 부馬 달애샤 두 孔雀일 그리시니ᅌᅵ다 聖武를 뵈요리라 하ᄂᆞᆯ히 님금 달애샤 열 銀鏡을 노ᄒᆞ시니ᅌᅵ다 제47장

大箭 ᄒᆞᆫ 나태 突厥이 놀라ᅀᆞᄫᅡ니 어듸 머러 威不及ᄒᆞ리ᅌᅵᆺ고 片箭 ᄒᆞᆫ 나태 島夷 놀라ᅀᆞᄫᅡ니 어늬 구더 兵不碎ᄒᆞ리ᅌᅵᆺ고 제48장

굴허ᅌᅦ ᄆᆞᄅᆞᆯ 디내샤 도ᄌᆞ기 다 도라가니 半 길 노ᄑᆡᆫᄃᆞᆯ 년기 디나리ᅌᅵᆺ가 石壁에 ᄆᆞᄅᆞᆯ 올이샤 도ᄌᆞᄀᆞᆯ 다 자ᄇᆞ시니 현 번 ᄩᅱ운ᄃᆞᆯ ᄂᆞ미 오ᄅᆞ리ᅌᅵᆺ가 제49장

셔ᄫᅳᆯ 도ᄌᆞ기 드러 님그미 나갯더시니 諸將之功애 獨眼이 노ᄑᆞ시니 님그미 나가려 ᄒᆞ샤 도ᄌᆞ기 셔ᄫᅳᆯ 드더니 二將之功ᄋᆞᆯ 一人이 일우시니 제50장

내 님금 그리샤 後宮에 드르시ᇙ 제 하ᄂᆞᆳ 벼리 눈 ᄀᆞᆮ 디니ᅌᅵ다 내 百姓 어엿비 너기샤 長湍ᄋᆞᆯ 건너시ᇙ 제 ᄒᆡᆫ 므지게 ᄒᆡ예 ᄢᅦ니ᅌᅵ다 제51장

軍容이 녜와 다ᄅᆞ샤 아ᅀᆞᆸ고 믈러가니 나ᅀᅡ오던덴 목숨 기트리ᅌᅵᆺ가 置陣이 ᄂᆞᆷ과 다ᄅᆞ샤 아ᅀᆞᄫᅩᄃᆡ 나ᅀᅡ오니 믈러가던덴 목숨 ᄆᆞᄎᆞ리ᅌᅵᆺ가 제52장

請 드른 다대와 노니샤 바ᄂᆞᆯ 아니 마치시면 어비 아ᄃᆞ리 사ᄅᆞ시리ᅌᅵᆺ가 請으로 온 예와 싸호샤 투구 아니 밧기시면 나랏 小民을 사ᄅᆞ시리ᅌᅵᆺ가 제53장

四海ᄅᆞᆯ 平定ᄒᆞ샤 길 우희 糧食 니저니 塞外北狄인ᄃᆞᆯ 아니 오리ᅌᅵᆺ가 四境을 開拓ᄒᆞ샤 셤 안해 도ᄌᆞᆨ 니저니 徼外南蠻인ᄃᆞᆯ 아니 오리ᅌᅵᆺ가 제54장

禮義를 앗기샤 兵馬ᄅᆞᆯ 머추어시니 徼外南蠻인ᄃᆞᆯ 아니 오리ᅌᅵᆺ가 才勇ᄋᆞᆯ 앗기샤 金刃을 ᄇᆞ려시니 塞外北狄인ᄃᆞᆯ 아니 오리ᅌᅵᆺ가 제55장

逐鹿未掎예 燕人이 向慕ᄒᆞᅀᆞᄫᅡ 梟騎 보내야 戰陣ᄋᆞᆯ 돕ᄉᆞᄫᆞ니 潛龍 未飛예 北人이 服事ᄒᆞᅀᆞᄫᅡ 弓劍 ᄎᆞᅀᆞᆸ고 左右에 좇ᄌᆞᄫᆞ니 제56장

聲敎ㅣ 너브실ᄊᆡ 窮髮이 編戶ㅣ러니 革命ᄒᆞᆫ 後에 厚恩 그리ᅀᆞᄫᆞ니 威惠 너브실ᄊᆡ 被髮이 冠帶러니 오ᄂᆞᇗ 나래 至德을 우ᅀᆞᆸᄂᆞ니 제57장

세 살로 세 샐 쏘시니 府中에ᇫ 遼使ㅣ 奇才ᄅᆞᆯ 과ᄒᆞᅀᆞᄫᆞ니 ᄒᆞᆫ 살로 두 샐 쏘시니 긼 ᄀᆞᅀᅵᆫ 百姓이 큰 功ᄋᆞᆯ 일우ᅀᆞᄫᆞ니 제58장

말이ᅀᆞᆸ거늘 가샤 긼 ᄀᆞᅀᅢ 軍馬 두시고 네 사ᄅᆞᆷ ᄃᆞ리샤 셕슬 치자ᄇᆞ시니 내 니거지ᅌᅵ다 가샤 山 미틔 軍馬 두시고 온 사ᄅᆞᆷ ᄃᆞ리샤 기ᄅᆞ말 밧기시니 제59장

東都앳 도ᄌᆞ기 威武를 니기 아ᅀᆞᄫᅡ 二隊玄甲ᄋᆞᆯ 보ᅀᆞᆸ고 저ᄒᆞ니 東海옛 도ᄌᆞ기 智勇ᄋᆞᆯ 니기 아ᅀᆞᄫᅡ 一聲白螺ᄅᆞᆯ 듣ᄌᆞᆸ고 놀라니 제60장

出奇 無端ᄒᆞ실ᄊᆡ 도ᄌᆞᄀᆡ 알ᄑᆞᆯ 디나샤 도ᄌᆞ기 ᄠᅳᆮ 몰라 몯 나니 變化ㅣ 無窮ᄒᆞ실ᄊᆡ 도ᄌᆞᄀᆡ ᄉᆞᅀᅵᆯ 디나샤 도ᄌᆞ기 ᄠᅳᆮ 몰라 모ᄃᆞ니 제61장

일후믈 놀라ᅀᆞᄫᅡᄂᆞᆯ ᄒᆞᄫᆞᅀᅡ 뒤헤 셔샤 手射數人ᄒᆞ샤 五千賊 이기시니 일후믈 저ᄊᆞᄫᅡᄂᆞᆯ ᄒᆞᄫᆞᅀᅡ 뒤헤 나샤 手斃無筭ᄒᆞ샤 百艘賊 자ᄇᆞ시니 제62장

도ᄌᆞᄀᆞᆯ 나ᅀᅡ가 보샤 일후믈 알외시니 聖武ㅣ어시니 나아오리ᅌᅵᆺ가 도ᄌᆞ기 겨신ᄃᆡᆯ 무러 일후믈 저ᄊᆞᄫᆞ니 天威어시니 드러오리ᅌᅵᆺ가 제63장

百步애ᇫ ᄆᆞᆯ채 쏘샤 群豪ᄅᆞᆯ 뵈여시늘 陰謀를 니ᄌᆞ니ᅌᅵ다 百步애ᇫ 여름 쏘샤 衆賓을 뵈여시늘 慶爵ᄋᆞᆯ 받ᄌᆞᄫᆞ니ᅌᅵ다 제64장

天下 英雄이〮 度量애〮 다〯 드〯ᅀᆞᄫᆞᆯ〯ᄊᆡ〮 叛ᄒᆞ〮ᄂᆞᆫ 노〮ᄆᆞᆯ〮 부러〮 노ᄒᆞ시〮니〮 世上 豪傑이〮 範圍예〮 몯〯 나〮ᅀᆞᄫᆞᆯ〮ᄊᆡ〮 이기〮시ᇙ〮 算ᄋᆞᆯ〮 짐즛 업게 ᄒᆞ시니 제65장

苑囿엣 도ᄐᆞᆯ 티샤 長史 듣ᄌᆞᄫᆞᆫ 마리 挺世氣象이 엇더ᄒᆞ시니 峻阪애ᇫ 놀ᄋᆞᆯ 쏘샤 麾下 듣ᄌᆞᄫᆞᆫ 마리 盖世氣象이 엇더ᄒᆞ시니 제66장

大義를 ᄇᆞᆯ기실ᄊᆡ 侯國이 오ᅀᆞᆸ더니 輕士善罵ᄒᆞ샤 侯國이 背叛ᄒᆞ니 大勳이 이ᄅᆞ시릴ᄊᆡ 人心이 몯ᄌᆞᆸ더니 禮士溫言ᄒᆞ샤 人心이 굳ᄌᆞᄫᆞ니 제67장

ᄀᆞᄅᆞᇝ ᄀᆞᅀᅢ 자거늘 밀므리 사ᄋᆞ리로ᄃᆡ 나거ᅀᅡ ᄌᆞᄆᆞ니ᅌᅵ다 셤 안해 자시ᇙ 제 한비 사ᄋᆞ리로ᄃᆡ 뷔어ᅀᅡ ᄌᆞᄆᆞ니ᅌᅵ다 제68장

ᄀᆞᄅᆞᇝ ᄀᆞᇫ 아니 말이샤 밀므를 마ᄀᆞ시니 하ᄂᆞᆯ히 부러 ᄂᆞᄆᆞᆯ 뵈시니 한비ᄅᆞᆯ 아니 그치샤 날므를 외오시니 하ᄂᆞᆯ히 부러 우릴 뵈시니 제69장

드르헤 龍이 싸호아 四七將이 일우려니 오라 ᄒᆞᆫᄃᆞᆯ 오시리ᅌᅵᆺ가 城 밧긔 브리 비취여 十八子ㅣ 救ᄒᆞ시려니 가라 ᄒᆞᆫᄃᆞᆯ 가시리ᅌᅵᆺ가 제70장

天挺英奇ᄒᆞ샤 安民ᄋᆞᆯ 爲ᄒᆞ실ᄊᆡ 六駿이 應期ᄒᆞ야 나니 天錫勇智ᄒᆞ샤 靖國을 爲ᄒᆞ실ᄊᆡ 八駿이 應時ᄒᆞ야 나니 제71장

元良ᄋᆞᆯ 무우리라 垂象ᄋᆞ로 하ᅀᆞᄫᆞ니 庸君이신ᄃᆞᆯ 天性은 ᄇᆞᆯᄀᆞ시니 僞姓을 구튜리라 親朝ᄅᆞᆯ 請ᄒᆞᅀᆞᄫᆞ니 聖主ㅣ실ᄊᆡ 帝命을 아ᄅᆞ시니 제72장

獨夫를 하ᄂᆞᆯ히 니ᄌᆞ샤 功德을 國人도 ᄉᆞᆲ거니 漢人 ᄆᆞᅀᆞ미 엇더ᄒᆞ리ᅌᅵᆺ고 하ᄂᆞᆯ히 獨夫를 ᄇᆞ리샤 功德을 漢人도 ᄉᆞᆲ거니 國人 ᄆᆞᅀᆞ미 엇더ᄒᆞ리ᅌᅵᆺ고 제73장

生靈이 조喪ᄒᆞᆯᄊᆡ 田租ᄅᆞᆯ 고티시니 七姓亂後에 致治ᄅᆞᆯ 爲ᄒᆞ시니 寇양이 毒痛ㅣ어늘 田制를 고티시니 僞氏黜後에 中興을 爲ᄒᆞ시니 제74장

天倫을 姦臣이 하ᅀᆞᄫᅡ 中土心得다 ᄒᆞᆫᄃᆞᆯ 賢弟를 매 니ᄌᆞ시리 天意를 小人이 거스러 親王兵을 請ᄒᆞᆫᄃᆞᆯ 忠臣을 매 모ᄅᆞ시리 제75장

突厥이 入寇ᄒᆞ나 威名을 저ᄊᆞᄫᅡ 戰鬪之計를 아니 드르니 威靈이 머르실ᄊᆡ 女直이 來庭ᄒᆞ야 爭長之言을 아니 거스니 제76장

宗室에 鴻恩이시며 모딘 相ᄋᆞᆯ 니ᄌᆞ실ᄊᆡ 千載 아래 盛德을 ᄉᆞᆯᄫᆞ니 兄弟예 至情이시며 모딘 ᄭᅬᄅᆞᆯ 니ᄌᆞ실ᄊᆡ 오ᄂᆞᇗ 나래 仁俗ᄋᆞᆯ 일우시니 제77장

ᄂᆞᄆᆞᆫ 仇讐ㅣ라커늘 日月之明이실ᄊᆡ 다시 ᄡᅳ샤 富庶를 보시니 ᄂᆞᄆᆞᆫ 주규려커늘 天地之量이실ᄊᆡ 다시 사ᄅᆞ샤 爵祿ᄋᆞᆯ 주시니 제78장

嚴威로〮 처〮ᅀᅥᆷ 보〮샤〮 迺終애〮 殊恩이〮시니〮 뉘〮 아니〮 좇ᄌᆞᆸ〯고〮져〮 ᄒᆞ리〮 赤心ᄋᆞ〮로〮 처〮ᅀᅥᆷ 보〮샤〮 迺終내〯 赤心이〮시니〮 뉘〮 아니〮 ᄉᆞ랑ᄒᆞ〮ᅀᆞ〮ᄫᆞ리〮 제79장

始終이 다ᄅᆞ실ᄊᆡ 功臣이 疑心ᄒᆞ니 定鼎無幾예 功이 그츠니ᅌᅵ다 始終이 ᄀᆞᄐᆞ실ᄊᆡ 功臣이 忠心이니 傳祚萬世예 功이 그츠리ᅌᅵᆺ가 제80장

武功ᄲᅮᆫ 아니 爲ᄒᆞ샤 션ᄇᆡᄅᆞᆯ 아ᄅᆞ실ᄊᆡ 鼎峙之業을 셰시니ᅌᅵ다 討賊이 겨를 업스샤ᄃᆡ 션ᄇᆡᄅᆞᆯ ᄃᆞᅀᆞ실ᄊᆡ 太平之業이 빛나시니ᅌᅵ다 제81장

千金을 아니 앗기샤 글冊ᄋᆞᆯ 求ᄒᆞ시니 經世度量이 크시니ᅌᅵ다 聖性을 아니 미드샤 學問이 기프시니 創業規模ㅣ 머르시니ᅌᅵ다 제82장

혀근 션ᄇᆡᄅᆞᆯ 보시고 御座애 니르시니 敬儒之心이 엇더ᄒᆞ시니 늘근 션ᄇᆡᄅᆞᆯ 보시고 禮貌로 ᄭᅮ르시니 右文之德이 엇더ᄒᆞ시니 제83장

君位를 보ᄇᆡ라 ᄒᆞᆯᄊᆡ 큰 命을 알외요리라 바ᄅᆞᇗ 우희 金塔이 소ᄉᆞ니 자ᄒᆞ로 制度ㅣ 날ᄊᆡ 仁政을 맛됴리라 하ᄂᆞᆯ 우흿 金尺이 ᄂᆞ리시니 제84장

님그미 賢커신마ᄅᆞᆫ 太子ᄅᆞᆯ 몯 어드실ᄊᆡ 누ᄫᅳᆫ 남기 니러셔니ᅌᅵ다 나라히 오라건마ᄅᆞᆫ 天命이 다아갈ᄊᆡ 이ᄫᅳᆫ 남ᄀᆡ 새 닢 나니ᅌᅵ다 제85장

方面을 몰라 보시고 벼스를 도도시니 하ᄂᆞᇗ ᄆᆞᅀᆞᄆᆞᆯ 뉘 고티ᅀᆞᄫᆞ리 讖文을 몰라 보거늘 나라ᇫ 일훔 ᄀᆞᄅᆞ시니 天子ㅿ ᄆᆞᅀᆞᄆᆞᆯ 뉘 달애ᅀᆞᄫᆞ리 제86장

여슷 놀이 디며 다ᄉᆞᆺ 가마괴 디고 빗근 남ᄀᆞᆯ ᄂᆞ라 나마시니 石壁에 수멧던 녜뉫 글 아니라도 하ᄂᆞᇙ ᄠᅳ들 뉘 모ᄅᆞᅀᆞᄫᆞ리 제87장

ᄆᆞᆯ 우흿 대ᄫᅥ믈 ᄒᆞᆫ 소ᄂᆞ로 티시며 싸호ᄂᆞᆫ 한쇼ᄅᆞᆯ 두 소내 자ᄇᆞ시며 ᄃᆞ리예 ᄠᅥ딜 ᄆᆞᄅᆞᆯ 넌즈시 치ᅘᅧ시니 聖人 神力을 어ᄂᆞ 다 ᄉᆞᆯᄫᆞ리 제88장

마ᅀᆞᆫ 사ᄉᆞᄆᆡ 등과 도ᄌᆞᄀᆡ 입과 눈과 遮陽ㄱ 세 쥐 녜도 잇더신가 굿븐 ᄭᅯᅌᅳᆯ 모ᄃᆡ ᄂᆞᆯ이시니 聖人 神武ㅣ 엇더ᄒᆞ시니 제89장

솘바ᅌᅩᆯ 닐굽과 이ᄫᅳᆫ 나모와 투구 세 사리 녜도 ᄯᅩ 잇더신가 東門 밧긔 독소리 것그니 聖人 神功이 ᄯᅩ 엇더ᄒᆞ시니 제90장

두 兄弟 ᄭᅬ 하건마ᄅᆞᆫ 藥이 하ᄂᆞᆯ 계우니 아바님 지ᄒᆞ신 일훔 엇더ᄒᆞ시니 두 버디 ᄇᆡ 배얀마ᄅᆞᆫ ᄇᆞᄅᆞ미 하ᄂᆞᆯ 계우니 어마님 드르신 말 엇더ᄒᆞ시니 제91장

아바님 이받ᄌᆞᄫᆞᇙ제 어마님 그리신 누ᇈ므를 左右ㅣ 하ᅀᆞᄫᅡ 아바님 怒ᄒᆞ시니 아바님 뵈ᅀᆞᄫᆞ시ᇙ제 어마님 여희신 누ᇈ므를 左右ㅣ 슬ᄊᆞᄫᅡ 아바님 일ᄏᆞᄅᆞ시니 제92장

至孝ㅣ 뎌려ᄒᆞ실ᄊᆡ ᄂᆞᄆᆞᆫ 즐기ᄂᆞᆫ 나ᄅᆞᆯ 아니 즐겨 聖經을 니르시니 大孝ㅣ 이러ᄒᆞ실ᄊᆡ ᄂᆞᄆᆞᆫ 밧ᄂᆞᆫ 오ᄉᆞᆯ 아니 바사 禮經을 從ᄒᆞ시니 제93장

아바니ᇝ 재宮을 ᄃᆞᅀᆞ샤 高平에 아니 가시면 配天之業이 구드시리ᅌᅵᆺ가 어마니ᇝ 山陵을 ᄃᆞᅀᆞ샤 粟村애 도라오시면 建國之功ᄋᆞᆯ 일우시리ᅌᅵᆺ가 제94장

내 가리ᅌᅵ다 말이나 宗廟 爲ᄒᆞ야 가시니 紹興之命을 金人이 모ᄅᆞ니 네 가ᅀᅡ ᄒᆞ리라커시ᄂᆞᆯ 社稷 爲ᄒᆞ야 가시니 忠國之誠을 天子ㅣ 아ᄅᆞ시니 제95장

처ᅀᅥᆷ 와 傲色 잇더니 濟世英主ㅣ실ᄊᆡ 마ᄍᆞᄫᅵ예 ᄆᆞᅀᆞᄆᆞᆯ 놀라니 간 고대 禮貌 업더니 盖天英氣실ᄊᆡ 이바디예 머리ᄅᆞᆯ 좃ᄉᆞᄫᆞ니 제96장

孝道ᄒᆞᇙ ᄯᆞᄅᆡ 그를 어엿비 너겨 보샤 漢家仁風을 일우시니ᅌᅵ다 孝道ᄒᆞᇙ 아ᄃᆞᆯ 우루믈 슬피 너겨 드르샤 聖祖仁政을 도ᄫᆞ시니ᅌᅵ다 제97장

將軍도 하건마ᄅᆞᆫ 豁達大略이실ᄊᆡ 狂生이 듣ᄌᆞᄫᅡ 同里ᄅᆞᆯ 브터 오니 宗親도 하건마ᄅᆞᆫ 隆準龍顔이실ᄊᆡ 書生이 보ᅀᆞᄫᅡ 同志ᄅᆞᆯ 브터 오니 제98장

臣下ㅣ 말〯 아니〮 드러〮 正統애〮 宥心ᄒᆞᆯᄊᆡ〮 山ᄋᆡ〮 草木이〮 軍馬ㅣ ᄃᆞᄫᅵ니〮ᅌᅵ다〮 님〯그ᇟ〮 말〯 아니〮 듣ᄌᆞᄫᅡ〮 嫡子ㅅ긔〮 無禮ᄒᆞᆯᄊᆡ〮 셔〯ᄫᅳᆳ 뷘〯 길헤〮 軍馬ㅣ 뵈〯니〮ᅌᅵ다〮 제99장

아ᄌᆞ미를 저ᄒᆞ샤 讓兄ㄱ ᄠᅳ들 내신ᄃᆞᆯ 討賊之功ᄋᆞᆯ 눌 미르시리 朝臣을 거스르샤 讓兄ㄱ ᄠᅳᆮ 일우신ᄃᆞᆯ 定社之聖ㅅ긔 뉘 아니 오ᅀᆞᄫᆞ리 제100장

믈 우희ᇫ 龍이 江亭을 向ᄒᆞᅀᆞᄫᆞ니 天下ㅣ 定ᄒᆞᆯ 느지르샷다 집 우희ᇫ 龍이 御床ᄋᆞᆯ 向ᄒᆞᅀᆞᄫᆞ니 寶位 ᄐᆞ실 느지르샷다 제101장

天下애 功이 크샤ᄃᆡ 太子ㅿ 位 다ᄅᆞ거시늘 새벼리 나ᄌᆡ 도ᄃᆞ니 宗社애 功이 크샤ᄃᆡ 世子ㅿ 位 뷔어시늘 赤침이 바ᄆᆡ 비취니 제102장

시름 ᄆᆞᅀᆞᆷ 업스샤ᄃᆡ 이 지븨 자려 ᄒᆞ시니 하ᄂᆞᆯ히 ᄆᆞᅀᆞᄆᆞᆯ 뮈우시니 모맷 病 업스샤ᄃᆡ 뎌 지븨 가려 ᄒᆞ시니 하ᄂᆞᆯ히 病을 ᄂᆞ리오시니 제103장

아ᇫ이 모딜오도 無相猶矣실ᄊᆡ 二百年 基業을 여르시니ᅌᅵ다 兄이 모딜오도 不宿怨焉이실ᄊᆡ 千萬世 厚俗ᄋᆞᆯ 일우시니ᅌᅵ다 제104장

建義臣을 할어늘 救호ᄃᆡ 몯 사ᄅᆞ시니 모매 브튼 일로 仁心 몯 일우시니 開國臣을 할어늘 救ᄒᆞ야 사ᄅᆞ시니 社稷功ᄋᆞᆯ 혜샤 聖心을 일우시니 제105장

제 님금 背叛ᄒᆞ야 내 모ᄆᆞᆯ 救ᄒᆞᅀᆞᄫᅡᄂᆞᆯ 不賞私勞ᄒᆞ샤 後世ㄹ ᄀᆞᄅᆞ치시니 제 님금 아니 니저 내 命을 거스ᅀᆞᄫᅡᄂᆞᆯ 不忘公義ᄒᆞ샤 嗣王을 알외시니 제106장

忠臣을 외오 주겨늘 惡惡 ᄆᆞᅀᆞ미 크샤 節월을 아니 주시니 義士ᄅᆞᆯ 올타 과ᄒᆞ샤 好賢 ᄆᆞᅀᆞ미 크샤 官爵ᄋᆞᆯ 아니 앗기시니 제107장

滿朝히 두쇼셔커늘 正臣을 올타 ᄒᆞ시니 十萬 僧徒ᄅᆞᆯ 一擧에 罷ᄒᆞ시니 滿國히 즐기거늘 聖性에 외다터시니 百千佛刹ᄋᆞᆯ 一朝애 革ᄒᆞ시니 제108장

수메셔 드르시고 民望ᄋᆞᆯ 일우오리라 戎衣를 니피시니ᅌᅵ다 病으로 請ᄒᆞ시고 天心을 일우오리라 兵仗ᄋᆞ로 도ᄫᆞ시니ᅌᅵ다 제109장

ᄆᆞ리 病이 기퍼 山脊에 몯 오ᄅᆞ거늘 君子ᄅᆞᆯ 그리샤 金뢰ㄹ 브ᅀᅮ려 ᄒᆞ시니 ᄆᆞ리 사ᄅᆞᆯ 마자 馬구에 드러 오나ᄂᆞᆯ 聖宗ᄋᆞᆯ 뫼셔 九泉에 가려 ᄒᆞ시니 제110장

四祖ㅣ 便安히 몯 겨샤 현 고ᄃᆞᆯ 올마시뇨 몃 間ㄷ 지븨 사ᄅᆞ시리ᅌᅵᆺ고 九重에 드르샤 太平을 누리시ᇙ제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11장

豺狼이 構禍ㅣ어늘 一間 茅屋도 업사 움 무더 사ᄅᆞ시니ᅌᅵ다 廣厦애 細氈 펴고 黼座애 안ᄌᆞ샤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12장

王事ᄅᆞᆯ 爲커시니 行陣ᄋᆞᆯ 조ᄎᆞ샤 不解甲이 현 나리신ᄃᆞᆯ 알리 莽龍衣 袞龍袍애 寶玉帶 ᄯᅴ샤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13장

拯民을 爲커시니 攻戰애 ᄃᆞᆮ니샤 不進饍이 현 ᄢᅵ신ᄃᆞᆯ 알리 南北珍羞와 流霞玉食 바ᄃᆞ샤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14장

大業을 ᄂᆞ리오리라 筋骨ᄋᆞᆯ 몬져 ᄀᆞᆺ고샤 玉體創瘢이 ᄒᆞᆫ두 곧 아니시니 兵衛 儼然커든 垂拱臨朝ᄒᆞ샤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15장

날 거스ᇙ 도ᄌᆞᄀᆞᆯ 好生之德이실ᄊᆡ 부러 저히샤 살아 자ᄇᆞ시니 頤指如意ᄒᆞ샤 罰人刑人ᄒᆞ시ᇙ제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16장

道上애 僵尸ᄅᆞᆯ 보샤 寢食을 그쳐시니 旻天之心애 긔 아니 ᄧᅳᆫ디시리 民瘼ᄋᆞᆯ 모ᄅᆞ시면 하ᄂᆞᆯ히 ᄇᆞ리시ᄂᆞ니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17장

敵王所愾ᄒᆞ샤 功盖一世ᄒᆞ시나 勞謙之德이 功ᄋᆞᆯ 모ᄅᆞ시니 侫臣이 善諛ᄒᆞ야 驕心이 나거시든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18장

多助之室실ᄊᆡ 野人도 一誠이어니 國人 ᄠᅳ들 어느 다 ᄉᆞᆯᄫᆞ리 님그ᇝ 德 일ᄒᆞ시면 親戚도 叛ᄒᆞᄂᆞ니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19장

兄弟變이 이시나 因心則友ㅣ실ᄊᆡ 허므를 모ᄅᆞ더시니 易隙之情을 브터 姦人이 離間커든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20장

百姓이 하ᄂᆞᆯ히어늘 時政이 不恤ᄒᆞᆯᄊᆡ 力排群議ᄒᆞ샤 私田을 고티시니 征斂이 無藝ᄒᆞ면 邦本이 곧 여리ᄂᆞ니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21장

내그ᅌᅦ 모딜언마ᄅᆞᆫ 제 님금 爲타 ᄒᆞ실ᄊᆡ 罪ᄅᆞᆯ 니저 다시 브려시니 ᄒᆞᄆᆞᆯ며 滾職 돕ᄉᆞᄫᅩ려 面折廷爭커든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22장

性與天合ᄒᆞ샤ᄃᆡ 思不如學이라 ᄒᆞ샤 儒生ᄋᆞᆯ 親近ᄒᆞ시니ᅌᅵ다 小人이 固寵호리라 不可令閑이라커든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23장

讖口ㅣ 만ᄒᆞ야 罪 ᄒᆞ마 일리러니 功臣ᄋᆞᆯ 살아 救ᄒᆞ시니 工巧ᄒᆞᆫ 하리 甚ᄒᆞ야 貝錦을 일우려커든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24장

洙泗正學이 聖性에 ᄇᆞᆯᄀᆞ실ᄊᆡ 異端ᄋᆞᆯ 排斥ᄒᆞ시니 裔戎邪設이 罪福ᄋᆞᆯ 저히ᅀᆞᆸ거든 이 ᄠᅳ들 닛디 마ᄅᆞ쇼셔 제125장

千世 우희 미리 定ᄒᆞ샨 漢水北에 累仁開國ᄒᆞ샤 卜年이 ᄀᆞᇫ 업스시니 聖神이 니ᅀᆞ샤도 敬天勤民ᄒᆞ샤ᅀᅡ 더욱 구드시리ᅌᅵ다 님금하 아ᄅᆞ쇼셔 洛水예 山行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ᅌᅵᆺ가

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용비어천가 라이선스

海东六龙飞,莫非天所扶,古圣同符。                       (第  一章)
根深之木,风亦不扤,有灼其华,有蕡其实。源远之水,旱亦不竭,流斯为川,于海必达。(第  二章)
昔周大王,于豳斯依,于豳斯依,肇造丕基。今我始祖,庆兴是宅,庆兴是宅,肇开鸿业。(第  三章)
狄人与处,狄人于侵,岐山之迁,实维天心。野人与处,野人不礼,德源之徙,实是天启。(第  四章)
漆沮陶穴,后圣以矢,帝业忧勤,允也如彼。赤岛陶穴,今人犹视,王业艰难,允也如此。(第  五章)
商德之衰,将受九围,西水之浒,如市之归。丽运之衰,将受大东,东海之滨,如市之从。(第  六章)
赤爵御书,止室之户,圣子革命,爰示帝祜。大蛇御鹊,寘树之扬,圣孙将兴,爰先嘉祥。(第  七章)
维周太子,维天择兮,兄让既遂,圣孙出兮。维我世子,维天简兮,帝命既降,圣子诞兮。(第  八章)
奉天讨罪,诸侯四合,圣化既久,西夷亦集。唱义班师,远人竞会,圣化既深,北狄亦至。(第  九章)
一夫流毒,爰徯我后,玄黄筐篚,于路迎候。狂夫肆虐,爰徯义旗,箪食壶浆,于路望来。(第  十章)
虞芮质成,方国多臻,维其至德,事独夫辛。威化振旅,舆望咸聚,维其至忠,立中兴主。(第 十一章)
五年罔悛,虐政日深,倒戈之日,莫遂考心。始日听谗,凶谋日炽,劝进之日,莫遂素志。(第 十二章)
献言虽众,天命尚疑,昭兹吉梦,帝乃趣而。讴歌虽众,天命靡知,昭兹吉梦,帝乃报之。(第 十三章)
维周圣孙,一怒而起,六百年业,洛阳是徙。维我圣子,三让虽坚,五百年邦,汉阳是迁。(第 十四章)
扬子江南,忌且遣使,七代之王,谁能御止。公州江南,畏且训嗣,九变之局,岂是人意。(第 十五章)
恃命于逃,信名于讴,英主之前,曷胜其羞。欲迁以幸,择姓以尹,当今之日,曷胜其哂。(第 十六章)
宫娥以惊,宫监之尤,问罪江都,其敢留之。官妓以怒,官吏之失,肇基朔方,实维趣只。(第 十七章)
失骊役徒,言归于家,维十人心,天实诱他。惮京使者,爰涉于海,维二百户,谁其请尔。(第 十八章)
不识坚城,则迷于行,皤皤老父,天之令兮。靡知黠贼,欲见以俟,皤皤老妪,天之使兮。(第 十九章)
维彼四海,肯他人锡,河无舟矣,既冰又释。维此三韩,肯他人任,海无舟矣,既浅又深。(第 二十章)
天既成之,匪赤脚仙,天下苍生,其肯忘焉。天方择矣,匪百衲师,海东黎民,其肯忘斯。(第二十一章)
赤帝将兴,白帝剑戮,火德之王,神婆告止。黑龙即殪,白龙使活,子孙之庆,神物复止。(第二十二章)
维彼双雕,贯于一发,绝世英才,边人拜伏。维彼双鹊,堕于一纵,旷世奇事,北人称颂。(第二十三章)
他则意异,我救厥辟,于彼六合,又歼精卒。弟则意异,我还厥国,于彼双城,又平逆贼。(第二十四章)
德望如彼,言旋军士,乃于厥躬,黄袍用被。忠诚若此,其苏黎庶,乃于厥嗣,衮服以御。(第二十五章)
遣彼东都,沮以谗说,于此于彼,宁殊后日。遣彼北道,尼以巧词,载去载留,岂异今时。(第二十六章)
大弧匪常,得言藏之,济世之才,后人相之。大箭匪常,见焉掷之,命世之才,即日怿之。(第二十七章)
适彼令舍,避仇客辞,两汉故事,果何如其。立在父后,赴京客辞,三韩今日,果何如其。(第二十八章)
汉德虽衰,帝胄中兴,大耳之儿,卧龙丞之。世乱将救,天姿奇伟,大耳之相,诏使美之。(第二十九章)
后有猾贼,前有暗程,有烨之电,天为之明。后有猛兽,前有深渊,有薄之冰,天为之坚。(第 三十章)
爰有蹇马,虽则屡蹶,三十年皇,悍谋何济。爰有石壁,间不容尺,数万里主,悬崖其跌。(第三十一章)
天为建国,天命斯集,亭上牌额,三中不错。天为拯民,天才是出,薮中蜜狗,廿发尽获。(第三十二章)
贼围行宫,天子泣涕,赴援设疑,寇虏解退。贼入京都,君王出避,先登献捷,车驾旋至。(第三十三章)
江之深矣,虽无舟矣,天之命矣,乘马截流。城之高矣,虽无梯矣,天之佑矣,跃马下驰。(第三十四章)
诇此京耗,轻骑独诣,维彼勅敌,遂能退之。克彼乡兵,挺身阳北,维此凶贼,遂能获之。(第三十五章)
兄坠而示,众贼薄之,下阪而击,两刀皆缺。策马以示,三贼逐之,避道而射,三箭皆踣。(第三十六章)
朝有贼臣,一人有命,堕溺之马,天使之迸。国无忠臣,独我至诚,泥淖之地,天为之凝。(第三十七章)
四征无敌,来则活己,我东曰徂,西夷苦徯。用兵如神,往则莫抗,我西曰来,东鄙竚望。(第三十八章)
楚国王气,游幸厌之,维君之心,不其为痴。鸭江将气,曰为某焉,维王之言,不其为然。(第三十九章)
维城之下,矢七十发,中七十人,京观以筑。维城之上,矢七十射,中七十面,凯歌以复。(第 四十章)
东征无功,尽放所掠,欢呼之声,道上洋溢。西征建功,尽还所获,仁义之兵,辽左悦服。(第四十一章)
西幸既久,角端有语,术士之请,于以许之。东宁既取,赤气照营,日官之占,于以听之。(第四十二章)
玄武两豝,一箭俱中,希世之事,写以示众。照浦二麞,一箭俱彻,天纵之才,岂待画识。(第四十三章)
嬉戏之球,马上连击,二军鞠手,独自悦怿。君命之球,马外横防,九逵都人,悉惊赞扬。(第四十四章)
欲往者在,长者是使,维是长者,悦秦民士。射侯者多,武德是知,维是武德,救我群黎。(第四十五章)
将降贤君,天诱驸马,维二孔雀,用以图写。欲彰圣武,天诱厥辟,维十银镜,用为侯的。(第四十六章)
大箭一发,突厥惊慑,何地之逖,而威不及。片箭一发,岛夷惊畏,何敌之坚,而兵不碎。(第四十七章)
深巷过马,贼皆回去,虽半身高,谁得能度。绝壁跃马,贼以悉获,虽百腾奋,谁得能陟。(第四十八章)
寇贼入京,天子出外,诸将之功,独眼最大。君王欲去,寇贼入京,二将之功,一人克成。(第四十九章)
我思我君,后宫是入,维时天星,散落如雪。我爱我民,长湍是涉,维时白虹,横贯于日。(第 五十章)
军容异昔,识斯退归,如其进犯,性命奚遗。置阵异他,知亦进当,如其退避,性命奚戕。(第五十一章)
受赂之胡,与之游行,若不中针,父子其生。见请之倭,与之战斗,若不脱胄,国民焉救。(第五十二章)
平定四海,路不赍粮,塞外北狄,宁不来王。开拓四境,岛不警贼,徼外南蛮,宁不来格。(第五十三章)
惜其礼义,载弛兵威,徼外南蛮,曷不来归。爱其才勇,载舍金刃,塞外北狄,曷不来顺。(第五十四章)
逐鹿未掎,燕人向慕,远致枭骑,战阵来助。潜龙未飞,北人服事,常佩弓剑,左右昵侍。(第五十五章)
声教普及,穷发编户,革命之后,厚恩思怃。威惠普及,被发冠带,于今之日,至德感涕。(第五十六章)
爰发三箭,爰中三雀,府中辽使,奇才是服。乃射一矢,乃落二鸽,路傍田叟,大功斯立。(第五十七章)
止之亦进,路畔留兵,遂率四人,按辔而行。请而自往,山下设伏,遂率百人,解鞍而息。(第五十八章)
东都之贼,熟知威武,二队玄甲,见而惊 。东海之贼,熟知智勇,一声白螺,听而惊悚。(第五十九章)
出奇无端,贼前是历,彼寇贼兮,莫测不出。变化无穷,贼间是度,彼寇贼兮,莫测相聚。(第 六十章)
既惊名号,于后独立,手射数人,克五千敌。既畏名号,于后独出,手毙无算,擒百艘贼。(第六十一章)
驰诣虏陈,名号自说,维其圣武,彼何敢出。贼问牙帐,名声是慑,维其天威,彼何敢入。(第六十二章)
射鞭百步,示彼豪帅,维彼豪帅,亶忘阴计。射果百步,示我诸客,维此诸客,共献庆爵。(第六十三章)
天下英雄,尽入度量,谋乱之徒,乃故放之。世上豪杰,不出范围,胜耦之筹,乃故齐之。(第六十四章)
斩豕苑囿,长史所闻,挺世气象,固如何云。殪麞峻阪,麾下所闻,盖世气象,固如何云。(第六十五章)
大义克明,侯国斯来,轻士善骂,侯国斯离。大勋将成,人心斯聚,礼士温言,人心斯固。(第六十六章)
宿于江沙,不潮三日,迨其出矣,江沙乃没。宿于岛屿,大雨三日,迨其空矣,岛屿乃没。(第六十七章)
不禁江沙,乃防潮涛,彼苍者天,示人孔昭。不止霖雨,乃回潢洋,彼苍者天,示我孔彰。(第六十八章)
龙斗野中,四七将济,纵曰来思,噬肯来诣。火照城外,十八子救,纵命往近,噬肯往就。(第六十九章)
天挺英奇,为安民斯,骙骙六骏,生应期兮。天锡勇智,为靖国猗,蹻蹻八骏,生应时兮。(第 七十章)
欲摇元良,谮用妖星,虽是庸君,天性则明。谋固伪姓,请朝京师,自是圣主,帝命已知。(第七十一章)
天绝独夫,维彼功勋,东人称美,矧伊汉民。天弃独夫,维我功德,汉人叹服,矧伊东国。(第七十二章)
生灵凋丧,均定田租,七姓乱后,致治是图。寇攘毒痛,大正田制,伪氏黜后,中兴斯为。(第七十三章)
奸臣间亲,曰得民望,维此贤弟,宁或有忘。小人逆天,请动王师,维此忠臣,宁或不知。(第七十四章)
突厥入寇,威名畏服,战斗之计,不敢听诺。威灵远振,女直来庭,争长之言,不自抗衡。(第七十五章)
宗室鸿恩,且忘反相,故维千载,盛德称仰。兄弟至情,不念旧恶,故维今日,仁厚成俗。(第七十六章)
人谓雠也,日月明显,乃复用之,富庶斯见。人欲诛矣,天地量廓,乃复生之,爵禄是锡。(第七十七章)
维是严威,始相见之,终以殊恩,孰不愿随。维是赤心,始相见斯,终亦赤心,孰不思怀。(第七十八章)
始终有异,功臣疑惑,定鼎无几,遂绝其绩。始终如一,功臣忠勤,传祚万世,岂绝其勋。(第七十九章)
匪直为武,且识儒生,鼎峙之业,肆克树成。不遑讨贼,且爱儒士,太平之业,肆其光炜。(第 八十章)
不吝千金,典籍是索,经世度量,是用恢廓。不矜圣性,学问是邃,创业规模,是用远大。(第八十一章)
引见小儒,御座遽起,敬儒之心,云如何已。接见老儒,礼貌以跪,右文之德,云如何已。(第八十二章)
位曰大宝,大命将告,肆维海上,乃涌金塔。尺生制度,仁政将托,肆维天上,乃降金尺。(第八十三章)
维帝虽贤,靡有太子,时维僵柳,忽焉自起。维邦虽旧,将失天命,时维枯树,茷焉复盛。(第八十四章)
不觉方面,聿升官爵,维天之心,谁改谁易。未晓谶文,聿改国号,维帝之衷,谁诱谁导。(第八十五章)
六麞毙兮,五鸦落兮,于彼横木,又飞越兮。岩石所匿,古书纵微,维天之意,孰不之知。(第八十六章)
马上大虎,一手格之,方斗巨牛,两手执之。桥外陨马,薄言挈之,圣人神力,奚罄说之。(第八十七章)
麋脊四十,与贼口目,遮阳三鼠,其在于昔。维伏之雉,必令惊飞,圣人神武,固如何其。(第八十八章)
松子维七,与彼枯木,兜牟三箭,又在于昔。东门之外,矮松立折,圣人神功,其又何若。(第八十九章)
兄第谋多,药不胜天,厥考所名,果如何焉。两朋舟覆,风靡胜天,维母所闻,果如何焉。(第 九十章)
侍宴父皇,忆母悲涕,左右诉止,父皇则懠。来见父王,恋母悲泪,左右伤止,父王称谓。(第九十一章)
至孝如彼,人乐之日,我独不乐,圣经是说。大孝如此,人脱之衣,我独不脱,礼经是依。(第九十二章)
守考梓宫,高平不赴,配天之业,其何能固。恋妣山陵,粟村旋行,建国之功,其何能成。(第九十三章)
人请去矣,去为宗庙,绍兴之命,金人莫料。汝必往哉,往为社稷,忠国之诚,天子乃识。(第九十四章)
初附之时,尚有傲色,济世英主,迎见惊服。所至之处,靡不蔑视,盖天英气,当宴敬礼。(第九十五章)
孝女之书,览之哀矜,汉家仁风,乃克成之。孝子之哭,听之伤叹,圣祖仁政,斯能赞之。(第九十六章)
将军虽多,豁达大略,狂生亦闻,依人以谒。宗亲虽多,隆准龙颜,书生载瞻,因友以攀。(第九十七章)
弗听臣言,有心正统,山上草木,化为兵众。弗顺君命,无礼嫡子,城中街陌,若塡骑士。(第九十八章)
载畏婶氏,让兄意怀,讨贼之功,伊谁云推。载拒朝臣,让兄意遂,定社之圣,孰不来至。(第九十九章)
水上之龙,向彼江亭,乃是天下,始定之征。殿上之龙,向我御床,乃是宝位,将登之祥。(第 一百章)
功高天下,储位则异,煌煌太白,当昼垂示。功大宗社,储位则虚,明明赤祲,方夜炳如。(第一百一章)
心无忧矣,将宿是屋,维皇上帝,动我心曲。身无恙矣,欲往彼室,维皇上帝,降我身疾。(第一百二章)
弟虽傲矣,无相犹矣,维二百年,基业启止。兄虽悖焉,不宿怨焉,于千万世,厚俗成旃。(第一百三章)
诉建义臣,救而莫活,势关嫌疑,仁心未集。谮开国臣,救而获生,功念社稷,圣心是成。(第一百四章)
不为其主,以救我身,不赏私劳,以教后人。不遗其君,以拒我命,不忘公义,以诏嗣圣。(第一百五章)
擅杀忠臣,恶恶之极,所以节钺,终焉不锡。深奖义士,好贤之笃,所以官爵,曾是不惜。(第一百六章)
满朝请置,正臣是许,十万僧徒,一举去之。满国酷好,圣性独辟,百千佛刹,一朝革之。(第一百七章)
潜身以听,欲遂民望,载提戎衣,于以尚之。托疾以请,欲遂天意,载备兵仗,于以迟之。(第一百八章)
我马孔瘏,于冈靡陟,言念君子,金罍欲酌。我马带矢,于廐猝来,愿陪圣宗,九泉同归。(第一百九章)
四祖莫宁息,几处徙厥宅,几间以为屋。入此九重阙,享此太平日,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章)
豺狼构祸患,茅屋无一间,陶穴经艰难。细毡铺广厦,黼座乃登坐,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一章)
祗为王事棘,行阵日随逐,几日不解甲。龙衣与衮袍,宝玉且横腰,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二章)
祗为拯群黎,攻战日奔驰,绝饍知几时。南北珍羞列,流霞对玉食,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三章)
天欲降大业,乃先劳筋骨,玉体创不一。俨然兵卫陈,垂拱临朝臣,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四章)
拒我慓悍贼,我自好生德,故胁以生执。颐指即如意,罚人刑人际,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五章)
僵尸道上见,为之废寝膳,旻天宁不眷。民瘼苟不识,天心便弃绝,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六章)
既敌王所忾,神功盖一世,劳谦不自大。侫臣善谀说,骄心不可遏,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七章)
维其多助至,野人亦入侍,何论国人意。君德如或失,亲戚亦离绝,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八章)
兄第纵相愈,因心则友于,竟莫知其辜。易隙情是乘,奸人谗间兴,此意愿毋忘。  (第一百一十九章)
民者王所天,时政不曾怜,排议革私田。征敛若无节,邦本即杌陧,此意愿毋忘。  (第 一百二十章)
于我虽不轨,谓为其主耳,忘咎复任使。况思补衮职,廷争或面折,此意愿毋忘。  (第一百二十一章)
性虽与天合,谓思不如学,儒生更亲昵。小人固宠权,曰不可令闲,此意愿毋忘。  (第一百二十二章)
谗口既噂沓,垂将及罪戮,功臣乃救活。簧巧谗谮甚,谋欲成贝锦,此意愿毋忘。  (第一百二十三章)
洙泗之正学,圣性自昭晰,异端独能斥。裔戎之邪说,怵诱以罪福,此意愿毋忘。  (第一百二十四章)
千世默定汉水阳,累仁开国卜年无疆。子子孙孙,圣神虽继,敬天勤民,乃益永世。呜
呼!嗣王监此,洛表游畋,皇祖其恃。                     (第一百二十五章)
«Newer      Older»
Comment:
Name:



Back to home


Subscribe | Register | Login | N